VPC 생성
VPC -> VPC 생성
이름, IPv4 CIDR 블록 설정 후 생성
퍼블릭 서브넷 생성
퍼블릭 서브넷에 속한 인스턴스가 외부 인터넷 구간으로 통신하는 실습을 해보자
VPC->서브넷->서브넷 생성
방금 만든 VPC 선택 후 서브넷 설정 위와 같이 하고 서브넷 생성!
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및 VPC 연결
VPC ->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
이름 태그 설정후 생성
생성 되면 작업 -> VPC에 연결 클릭
위에서 만든 CloudNeta-VPC와 연결
Attached 상태 확인
퍼블릭 라우팅 테이블 생성 및 서브넷 연결
VPC->라우팅테이블 생성
이름과 VPC 선택후 생성
서브넷 연결 -> 서브넷 연결 편집
위에서 만든 퍼블릭 서브넷에 체크한 후 연결 저장
퍼블릭 라우팅 테이블 경로 추가
VPC->라우팅테이블->방금 만든 라우팅테이블 선택->라우팅->라우팅편집
라우팅 추가 -> 0.0.0.0/0 -> 인터넷 게이트웨이 클릭 후 위에서 만든 인터넷 게이트웨이 선택 -> 저장
EC2 인스턴스 생성
검증을 위해 인스턴스 생성
https://asdfmelody.tistory.com/8 이전에 올려놓은 1주차 인스턴스 생성 부분을 보고 나머지 진행
네트워크 : 위에서 만든 VPC 선택
서브넷: 위에서 만든 퍼블릭 서브넷 선택
태그 추가
EC2 인스턴스 접근 후 통신 확인
XShell 사용
위에서 만든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주소를 복사해 호스트에 붙혀넣고 연결하기
#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
ip -br -c addr show
# 라우팅 정보 확인
ip route list
# 외부 접속 시 공인IP 정보 확인
curl ipinfo.io
curl ipinfo.io에서 나온 "loc"의 값을 카카오맵(https://map.kakao.com/)에 쳐보면
IP가 위치한 곳을 볼 수 있다.
허튼 짓하면 IP 추적으로 다 찾아낼 수 있는 이유~
AWS 프라이빗 서브넷 VPC 구성하기와 자원삭제 부분
https://asdfmelody.tistory.com/11
'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FOS 2기 4주차] AWS 스토리지 서비스 배포하고 사용하기 - 2 (EFS) (0) | 2021.07.05 |
---|---|
[AFOS 2기 4주차] AWS 스토리지 서비스 배포하고 사용하기 - 1 (EBS 생성 및 파티션 확장) (0) | 2021.07.04 |
[AFOS 2기 3주차] AWS 프라이빗 서브넷 VPC 구성하기 (1) | 2021.06.29 |
[AFOS 2기 2주차] AWS EC2 배포 및 모니터링(CloudWatch) 및 알람 관리 (2) | 2021.06.21 |
[AFOS 2기 1주차] AWS EC2(가상서버) 배포 및 사용하기 (0) | 2021.06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