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베디드 개발자는 자료형 float, double, 부동소수점(IEEE 754), 고정길이정수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. 실수 처리 방법 float float 를 출력할때는 %f를 이용한다. 소수점 7자리 까지 저장이 가능하다. 정밀도 비교적 낮고, 처리 속도는 빠르다. double float 를 출력할때는 %lf를 이용한다. 소수점 15자리 까지 저장이 가능하다. 정밀도 비교적 높고, 처리 속도는 느리다. 반올림은 다음과 같이 한다. printf("%.3lf",a); //소수점 아래 세자리까지 출력 , 네자리에서 반올림 부동소수점 float 와 double은 부동소수점이라고 하는데, 이것은 근사치로 소수점을 저장하는 것이다. 이렇게 부동 소수점을 저장하는 방식은 IEEE 754 방식이다. 예를들어 ..